본문 바로가기
커피

아라비카 커피와 유래

by 서울정대리 2023. 3. 1.

아라비카

흔히 들어본 이름일 것 입니다 아라비카는 커피의 품종 중 하나인 코페아 아라비카를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커피는 크게 세가지 종으로 구분되는데 그중 하나인 아라비카는 다른 두 품종에 비해 카페인 함유량은 적지만 향미가 뛰어납니다.

그래서 전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60%는 아라비카 품종입니다.

하지만 아라비카 품종은 다른 품종에비해 키우기가 까다로운 환경 조건을 갖고있습니다.

아라비카 1년 대부분의 날이 15~25℃ 환경을 유지하는 해발 900~2,000m의 에티오피아 고산지대에서만 자라며, 이 고산지대는 일교차가 크고 적당한 일조량이 지켜져야 합니다, 그래서 너무 많은 일조량을 갖고 있으면 쉐이딩 트리를 심어 그늘진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쉐이딩 트리로는 바나나 나무가 많이 쓰입니다.

또한 연간 강수량이 1,500~2,500mm가 최적으로 9개월에 걸쳐 골고루 비가 와야하고 수확을 앞둔 3개월 동안은 건기가 유지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고산지대에서 생산되는  커피 일수록 아침과 밤의 일교차로인하여 생두의 조직 밀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향미와 좋은 신맛을 더해주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런 까다로운 생식조건을 갖고있기 때문에 커피를 키울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구간을 커피 벨트 라고 합니다. 커피 벨트는 선벨트와 거의 비슷한  북위 25도부터 남위 25도까지의  구간입니다. 

아라비카 품종도 아래로 가면 더욱 세분화된 품종들이 있습니다.

티피카

커피 원종에 가장 가까운 품종으로서 현재에 이르러서는 동아프리카, 자메이카, 하와이에서 이 품종을 주로 재배 하며 다른 아라비카 품종에 비해서 병충해에 약해 환경에 까다롭습니다.

 

버번  

티피카와 마찮가지로 커피 원종에 가장 가까운 품종입니다 티피카의 생두모양이 타원처럼 생겻다면 버번은 그 보다 더 동글 동글한 형태를 띕니다 티피카보다는 생산성이 뛰어난 편이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대부분의 중남미 나라들이 버번 품종의 인공교배종 이거나 자연변종 들을 재배합니다.

 

문도노보

버번 품종과 티피카 품종의 자연 교배종인 문도노보는 브라질 상 파울루 주 미네이로스 두 티에테 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예전의 지명인 Novo Mundo에 원 커피나무를 심었고, 여기서 선택 작업을 진행해, 1943년 처음 발견하였고,

품종 개량을 하여 지금의 문도노보를 만들었습니다.

브라질에서 첫 품종 개량 작업은 1943년-1952년 사이에 진행되었고, 1952년부터 배포하였다 합니다. 이후 브라질의 캄피나스 농업 연구소(IAC)에서는 1977년에 새 선택 종을 배포하였습니다.

남미에서는 문도노보의 채택률이 높지만 중미 국가에서는 너무 큰 나무의 키 때문에 선호도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아프리카의 경우 말라위에서 이 품종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카투라

위에 설명한 버번의 자연 돌연변이 종으로서 나무의 키가 작은 왜성종입니다. 카투라의 어원도  '작다' 라는 의미의 단어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키가 작은 특징 때문에 수확에 용이하고, 그 때문에 생산성또한 상당히 좋은 편입니다. 브라질 상 파울루주에 위치한 캄피나스 농업 연구소(IAC)에선 1937년 부터 카투라를 사용해 또다른 카투라를 만들어내기 위해 '카투라 선택작업(집단 선발)'을 진행했습니다, 나무를 좀더 뺵빽하게 심어서 더많은 수확량을 확보하기 위함이었죠. 애초에 키가 작고 생산성이 좋은 카투라였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이 진행되었던 것입니다.

1940년경 브라질에서 과테말라에 카투라가 유입이 되었지만, 거의 30년간은 전파되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후 과테말라를 교두보로 삼아 코스타리카,파나마,온두라스,니콰라과 등으로 퍼져나갔습니다.

풍부한 산미를 가지고 있는 카투라는 모태가 되는 버번보다는 조금은 떨어지는 향미의 품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두 자체도 작고 둥근 모양이 버번과도 유사합니다. 1100m 보다 낮은 고도에서 재배를 하게 되면 열매가 너무 많이 열려, 상품의 품질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생산성은 좋지만 병충해에 취약한 문제 때문에 이후 많은 품종의 개량이 시도되고 카투라를 대체하게 됩니다.

 

 

'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셜티 커피와 커핑  (0) 2023.03.05
커피의 생산과 가공  (0) 2023.03.04
크레마에 대해서  (0) 2023.03.04
로부스타 커피의 유래  (0) 2023.03.04
우리가 마시는 커피의 종류  (0) 2023.03.01

댓글